오늘은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왔는데요.
기부 정산 관련 좋은 기부제도가 있어 소개해 드릴려고 합니다.
고향사랑기부제는 말 그대로 지방에 다가 기부를 하는 시스템인데요.
기부를 하게 되면 지방 발전 및 사회 취약계층 등 청소년의 육성. 보호 등 여러가지를 지방자치단체에서 사용을 한다고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10만원을 기부하면 10만원은 공제 3만원은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연말정산이 징수 될 것 같으신 분들은 10만원은 100%공제이니 꼭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연말정산 금액을 미리볼수 있는 방법도 글에 포함되어 있으니 참고 해주세요~
조금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고향사랑기부제란?
2023년 1월1일 부터 시행하는 기부 제도로 고향에 기부만 하면 혜택을 돌려 받을 수 있는 기부 제도입니다.
고향사랑기부제 기부금
고향사랑기부제의는 본인의 주소지 이 외에 다른 지자체에만 기부가 가능 하며, 기부금은 최대 500만원까지 가능 합니다.
10만원까지는 기부금의 전액이 연말정산에서 공제 되며, 10만원 이상 초과 금액은 16.5% 공제를 받습니다.
또한 기부금의 30%를 지역 특산품으로 돌려 받을 수 있습니다.
- 고향사랑기부제는 본인의 주소지의 지자체에는 기부가 불가능 하다.
- 최대 500만원까지 기부가 가능하다.
- 10만원까지는 100% 연말정산 기부금 공제가 된다.
- 10만원 이상 기부 시 그 이후로는 16.5%가 공제 된다.
- 기부금의 30%를 지역 특산품으로 답례를 받을 수 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여유가 많으시면 많이 하시는게 좋겠지만, 10만원은 꼭 기본적으로 하시는 것을 추천 합니다.
10만원 기부 시 10만원을 돌려받고 3만원 어치의 답례품을 선택 하실 수 있습니다.
기부금의 사용처 4가지 사업 목적
- 사회적 취약계층의 지원 및 청소년 육성. 보호의 목적으로 사용
- 지역 주민의 문화. 예술. 보건 등의 증진의 목적으로 사용
- 시민참여, 자원봉사 등 지역공동체 활성화 지원
- 그 밖에 주민의 복리 증진에 필요한 사업 추진.
으로 기부 된 금액은 4가지 목적 이 외 절대 사용 되지 않는다고 하오니 참고 부탁 드립니다.
기부 방법 위기브 어플 사용
고향사랑기부제의 기부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저는 그 중에사회적 기업 공감만세가 만든 위기브라는 어플을 사용하여 기부 해보겠습니다.
위기브 어플을 다운 받으시고 카카오톡으로 가입하시면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1.위기브 어플 다운 후 회원 가입.
*카카오톡이나 SNS연동으로 가입을 하셨을거라고 생각하고 설명 드리겠습니다.
]
2. 위기브 어플 실행 후 답례품과 최소 기부금 확인.
위기브 어플을 실행하시면 바로 메인 화면에 상품들이 나와있는데 자세히 보시면 얼마부터 기부 가능 이라고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그 해당 금액을 기부하시면 화면에 있는 상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10만원으로 소고기를 사고 10만원은 지방자치단체에 기부가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근데 그 10만원은 연말정산에서 지방 기부금으로 100%공제가 되는 것이지요.
3. 원하시는 기부금과 상품 선택
저는 광주광역시 동구 1등급 한우 등심용구이 10만원 기부를 선택 하겠습니다.
10만원을 기부하시면 답례품으로 한우 등심 400G을 받을 수 있는 기부 입니다.
4.기부금 결제 및 기부처 선택
원하시는 답례품을 선택 하시고 기부를 진행 하시면 됩니다.
결제 방법은 신용카드, 계좌이체, 페이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여러가지로 가능 합니다.
5. 카카오톡 안내 메세지 확인.
오늘은 고향사랑기부제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저는 광주에 10만원을 기부하고 소고기도 받았으며, 기부금은 좋은곳에 쓰이게 신청하였습니다.
연말정산에도 10만원 정도는 100%환급으로 도움이 되며, 아주 좋은 답례품까지 선택하셔서 기부하실 수 있으니 꼭 하셔서 지방자치단체에도 도움이 되고, 연말정산도 환급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star5blog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전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