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은(Inflation)은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전반적.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 현상으로 가장 흔한 경우로는 수요는 크게 늘어나는데 공급량이 늘어나지 않아 발생됩니다.
조금 더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원인
-수요 인플레이션
- 수요는 크게 늘어나는데 공급량이 부족한 경우
가계에 돈이 많아 지면 소비가 늘어나게 되는데 그 만큼 물건 공급이 되지 않을 경우에 발생 ->이를 과잉 유동성 공급 이라고 합니다.
비용 인플레이션
- 제품의 생산비용(원자재, 인건비,석유.. 등)이 오르면 제품의 가격이 당연히 올라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석유 가격이 오르게 되면 석유와 관련된 모든 제품이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기타 인플레이션
-단순한 수요의 이동이나 공공요금의 인상, 저 생산성으로 인한 공급의 부족 도 인플레이션이 생길 수 있다.
인플레이션의 영향 4가지
인플레이션= 즉 물가 상승은 여러 곳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대표 적으로 4가지가 있습니다.
- 급여를 받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만큼 급여를 대부분 올려주지 않기 때문에 손해를 보게 됨
- 빚을 갚을 사람은 유리하게 되며, 빚을 받는사람은 불리하게 됨(화폐가치의 하락)
- 상품 값의 상승으로 더 비싼 가격으로 수출을 하여야 하여 수출이 어려워 지게 됨. 또한 국내 물건 값이 비싸지면서 수입물품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며 무역 수지를 적자로 만들게 되어 경제에 영향을 끼침.
-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시간이 지날 수록 화폐가치가 떨어진다고 생각해 저금을 하지 않음 -> 은행 자본 부족으로 대출이 줄어듬 -> 경제 성장에 지장을 줌
인플레이션의 해결 방법
인플레이션 = 물가상승 즉 물가상승을 내리기 위해서 돈을 줄이거나, 상품의 공급량을 늘려야 합니다.
- 사회에 돈이 많이 돌면 저축 장려
- 사람들이 물건을 많이 사도 부족하지 않게 공급량 늘리기
- 원자재 상승 물가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일 경우 해당 분야 생산성 상승과 유통구조의 개선 등으로 공급량 확보
- 디플레이션 정책 적용
*디플레이션: 통화량을 줄이고 수요도 억제하고 재정 지출을 축소해서 물가를 안정 시키는 정책.
인플레이션 예시 만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