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가 있을지 알아 보겠습니다.
후쿠시마의 오염수 관련 하여 좀 더 자세한 History를 알아 보겠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지방 앞바다의 대지진과 지진해일로 인하여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가 침수되어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어 핵연료 용융(고체가 열에 의해 액체가 되는 현상)과 수소 폭발이 발생되어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누출 되었습니다.
자연 재해로 인한 원전 폭발 사고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의 발생 원인
후쿠시마 원전 폭발사고 발생 시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 되어 핵연료가 용융 되면서 녹아내린 핵연료와 접촉한 물이 계속 생겨나게 됩니다.
접촉하는 물이 계속 생기는 이유는 원자로의 연료봉을 식히기 위해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투입을 해왔으며, 그 결과로 매일 원전에서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습니다.
그 오염수의 양은 올림픽 수영장을 500개는 넘게 채울 수 있는 양이며 1000개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입니다.
후쿠시마 오염수의 방류 이유와 결정
일본 원전을 안전하게 해체할 새로운 시설을 지으려면 탱크가 차지한 땅이 필요하다고 하며 자연 재해로 인해 오염수가 보관되어 있는 탱크가 파손 되어 흐르게 될 경우 피해 또한 우려 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오염의 탱크를 감당하기가 점점 어려워져 특정한 절차를 만들어 방류를 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 2021년 4월 13일 일본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결정 함.
- 일본 정부와 도쿄 전력은 다핵종제거설비(ALPS)처리 과정을 통해 방사성 물질 원소인 Cs-134, Cs-137등을 걸러내고, 삼중수소 등 일부 방사선 핵종이 포함된 오염수는 안전 기준 이하로 희석시켜 2051년까지 30년에 걸쳐 방류하겠다고 선언.
- 최초 방류는 2023년 8월 24일 도쿄전력이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방류를 이미 시작 했습니다. 200~210톤으로 추정.
다핵종제거설비(ALPS)란?
방사성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가동하는 장치로 후쿠시마 원전 폭발이후 원자로 시설에 빗물과 지하수 등이 유입되어 하루평균 140T의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어 도시바에서 만든 ALPS설비로 방사성 물질 62종을 국제기준 이하로 제거할 수 있는 설비 입니다.
ALPS설비는 측정.확인용설비 , 희석설비, 취수,방수 설비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LPS설비는 62종의 방사성 물질을 기준이하로 낮출 수는 있지만 삼중수소는 제거 되지 않는 다고 합니다.
삼중수소의 영향
삼중수소는 몸속으로 들어갈 경우 대부분 몸 밖으로 배출 되지만 방사성 물질이기 떄문에 위험하며, 축적이 될경우 유전자변형,세포 사멸, 생식기 저하 등 인체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에는 삼중수소가 포함 되어 있다고 합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인한 피해
2일전인 2023년 8월 24일 최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시작되었습니다.
바로 옆 나라인 일본에서 오염수를 방류하기 시작해 벌써부터 한국 경제의 해산물 산업이 어렵다고 나오고 있는데요 뉴스 및 유튜브만 확인 해보아도 어시장 및 당장 다가오는 추석에도 생선 선물 세트의 매출 영향도 보여집니다.
아직은 방류된지 3일이 지나 정확한 피해 수치를 확인 할 수 없으나 수산물 시장 및 해산물 관련 업종에 계신 분들이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예측 하는 전망 입니다.
중국에서는 일본산 해산물 수입을 전체를 금지 한 것으로도 확인 됩니다.
출처 KBS뉴스
오늘은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요.
바로 옆나라의 바다에서 방사능 오염수가 방류되어 걱정되기도 하는데요.
너무 자세한 내용은 내용이 많이 어려워 방사성 물질에 대한 내용까지는 다루지 못하였습니다.
일반인 입장에서 다루어본 내용으로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하기 Link를 참조 부탁 드립니다.
자세히알아보기<-클릭
감사합니다.